드리퍼 형태
평면형 드리퍼, 원뿔형 드리퍼, 잘린 콘 형 드리퍼 등의 드리퍼 형태가 존재한다. 드리퍼의 모양에 따라 사용하는 종이 필터가 다르고, 이런 특성에 따라 추출 방식은 달라져야 최고의 추출을 할 수가 있다. 드리퍼 모양과 사용하는 종이 필터의 특징을 잘 파악 하고 추출을 설계해 보아야 한다. 드리퍼의 형태, 사용하는 필터의 특징에 따라 난류, 교반 등의 여러 변수가 존재한다.
바닥이 평평한 형태의 드리퍼
바닥이 평평한 형태의 드리퍼를 사용하여 추출을 할 때는 물의 흐름이 굉장히 빠르다는 특징을 알아야 한다. 바닥이 평평하기에 물이 쌓이기 좋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평평한 바닥을 가진 드리퍼는 추출이 되는 부분에서 물의 흐름을 느리게 만들 수 있는 장치가 있다. 칼리타 웨이브 드리퍼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물이 빠지는 추출구를 작은 구멍 세개로 설계한다. 이런 형태의 드리퍼의 장점과 단점은 극명하다. 물이 바로 빠지는게 아니라 커피와 접촉하고 있는 시간이 길어짐으로 침출식 추출과 비슷한 형태로 추출이 되며, 이는 커피의 바디감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전적심을 할 때 물과 커피가 고루고루 접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분쇄도, 추출 시간 조절이 확실하게 되지 않았을 때 과다추출에 대한 위험성이 있다.
원뿔 형태의 드리퍼
원뿔 형태의 드리퍼는 분쇄 원두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쌓이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이 필터가 드리퍼를 가득 채우고 커피가 원활하게 추출되기 위하여 하단부에 큰 추출구 하나를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원뿔 형태의 드리퍼를 사용하여 커피 추출을 할 때는, 가장 중요한게 사전적심 단계이다. 분쇄 원두가 역피라미드 형태로 쌓여있는 모습이다보니 사전적심을 할 때 커피에 물이 고루 접촉하지 못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바리스타에 따라 다르지만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전적심 단계에서 교반(스푼으로 저어주기)을 하는 경우가 많다. 여과식 추출의 정석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는 드리퍼의 형태이기에, 추출 레시피나 컨트롤에 따라 커피 향미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잘린 콘 형태의 드리퍼
일반적으로 커피 드리퍼를 생각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드리퍼의 모양이다. 말그대로 콘의 하단부가 잘려있는듯한 모습으로, 종이 필터에 홈 부분이 없기에 물과 커피 입자의 접촉이 균일되고 원활하다는 점에서 원뿔 형태의 드리퍼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종이 필터의 하단을 접어서 사용하기에, 위 두가지 형태의 드리퍼에 사용하는 종이 필터보다 좀 더 두꺼운 종이 층이 생긴다. 이는 물이 빠지는 속도와도 직결되며, 침출식 추출 형태와 비슷한 스타일을 가지기에, 이를 참고하여 추출하면 조금 더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커피, 바리스타 이야기 > 커피와 바리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커피에서 부정적인 맛의 이유와 QC(품질관리)에 대해서 (0) | 2022.06.16 |
|---|---|
| 카페 마감할 때 커피 머신을 켜둬야 할까, 꺼야 할까? (1) | 2022.06.15 |
| 커피 추출 TDS와 수율, 그리고 관능평가 (1) | 2022.06.11 |
| 커피 생두 보관의 목적과 방법 (0) | 2022.06.10 |
| 핸드드립 커피를 맛있게 내리기 위한 장비와 팁 - 홈바리스타 (0) | 2022.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