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브루잉4

핸드드립 커피 추출 레시피 - 홈바리스타 브루잉 팁 핸드드립 커피 추출에서 중요한 점 요즘 집에서 핸드드립 커피를 내려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모든 홈바리스타들이 카페에 직접 가서 사 먹는 커피의 퀄리티로 추출해서 먹는다고 말하지는 못할 것이다. 매장에서야 추출 기술은 바리스타들의 몫이고, 매장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필자가 방문한 카페들은 모두 수준급의 추출 기술과 그만의 소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다 보니 카페에서의 브루잉 커피는 어떤 원두를 선택하는지가 중요한 영역이지만, 홈바리스타의 경우에는 추출과 관련된 기술이 커피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오늘은 집에서 퀄리티 있는 핸드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려 한다. 1. 추출 비율 커피-물의 비율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이다. 추출 레시피는 사실 원두, 배전도, 분쇄도, 추.. 2022. 6. 3.
스페셜티 커피와 추출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 스페셜티 커피의 등장 최근 스페셜티 커피가 굉장히 유행이다. 스페셜티만 전문하는 스페셜티 전문점들도 많이 등장하였고 성행을 이루고 있다. 그에 맞게끔 스페셜티 커피에 초점을 맞춘 여러 기구, 장비들도 출시되고 있고 자연스레 좋은 질의 커피를 그대로 즐기기 위한 커피 추출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좋은 품질의 커피 (스페셜티 커피와 COE) 스페셜티 커피는 지리, 기후, 산지 등 특별한 환경에서 자란 커피 중 SCAA의 커핑 평가를 거쳐, 80점 이상을 받은 우수한 등급의 커피를 말한다. 처음 등장은 대량 생산되는 커피에 반하는 목적이었다. 1989년의 커피 수입 할당제 폐지로 인해 커피 생산량이 많은 브라질, 베트남 등의 커피가 대량으로 시장에 풀리며 과잉 공급으로 인해 커피 가격이 대폭.. 2022. 5. 30.
사전적심(Prewetting), 뜸들이기, 블루밍(Blooming)에 관하여 브루잉 커피를 추출하기 전, 원두에 일정량의 물을 붓고,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리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행위를 통해 커피의 상태를 체크하기도 하고, 추출 방향을 가늠하여 더욱 이상적인 추출을 하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이를 뜸들이기, 사전적심(Prwetting), 블루밍(Blooming), 프리인퓨전(Preinfusion) 등 다양한 용어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에 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흔히 핸드드립, 푸어오버, 브루잉이라고 하는 여과식 추출에 맞춰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침지식 추출에서 하는 사전적심은 논란의 요소가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뜸 들이기입니다. 뜸들이기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이 일이나 계획을 잘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상태에서 충분히 무르익게 하다'라는 의.. 2022. 5. 20.
드리퍼 재질에 따른 추출의 영향 보통 브루잉 커피 추출 시, 물 온도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걸로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드리퍼의 재질은 추출 시 물 온도를 직접적으로 주고받기에, 드리퍼 재질에 따른 추출의 영향이 다르게 작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제로 드리퍼 소재에 따라 열용량, 단열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열을 전달하는 용량과 유지하는 정도가 다른 것이다. 브루잉 커피 추출 시 드리퍼 소재가 중요하다고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 드리퍼의 온도가 상승하기 전 재료가 흡수해야 하는 열의 총량이 있기 때문이다. 드리퍼의 소재 중 스틸,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드리퍼가 많은 이유는 다른 소재들보다 열 질량이 낮고 무게도 가볍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더 빨리 온도가 오르고 추출을 할 때 원두에서 더 적은 열을 빼앗는다는 의.. 2022.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