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커피맛3 커피에서 부정적인 맛의 이유와 QC(품질관리)에 대해서 커피 부정적인 맛 분석 더욱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문제의 원인을 찾아서 분석하는 것이다. 커피를 마실 때 부정적인 향미가 표현된다면, 생두의 문제인지 로스팅의 문제인지 추출의 문제인지 그 외적인 문제가 있을 것인지 매번 의문을 가지는 바리스타들이 많을 것이다. 단순히 무엇 하나의 문제라고 단번에 집어내고 제어하는 건 분명히 힘든 일이다. 커피 맛에서 몇 가지 부정적인 향미가 느껴진다면, 그 향미의 특징에 따라 문제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열쇠가 있다. 거기에 관한 글을 써보려 한다. 아린 맛, 얼얼한 맛 얼얼한 맛, 아린 맛처럼 매운 걸 먹었을 때 혀가 알알하다고 느낄 수 있는 듯한 맛이 표현된다면, 보통 로스팅에서 문제가 있거나 추출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을 확률이 높다.. 2022. 6. 16. 커피맛 표현의 필요성과 향미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 커피맛 표현 커피를 마실 때 꼭 맛을 표현해야 하는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커피를 마시고 맛이 있다, 없다, 내 취향이다, 내 취향이 아니다 정도만의 표현과 판단만으로도 커피를 즐기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커피를 마시며 본인의 기호를 세세하게 파악하고, 그 기호에 따른 커피에 대한 주관을 세우고, 그 맛을 구체적으로 찾아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면 커피에 대해서 좀 더 깊게 즐길 수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그를 위해서는 커피맛을 보고 단순한 평가에 그치는 게 아닌, 그 맛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표현해보고 평가해보는 게 큰 도움이 된다. 커피 향미를 결정하는 요인 커피 향미를 결정하는 요인을 한두 가지 짚어서 얘기하기에는 분명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커피 콩이 심어지는 순간부터 한잔의 커피가.. 2022. 5. 31. 미각과 커피 맛의 상관 관계 : 맛의 5원미 커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커피맛에도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커피 맛을 표현하는 방법, 맛을 객관화하는 방법들이 있지만 그에 앞서 먼저 미각과 커피 맛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커피의 어떤 성분이 어떤 맛으로 다가오는지, 왜 그렇게 느껴지는지를 파악해본다. 미각 음식물이나 액체류 등을 입으로 섭취할 때 구강내에서 느껴지는 기본적인 맛의 감각이며, 혓바닥에서 느껴지는 화학 감각의 일종이다. 혀의 부위에 따라 다른 맛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혀의 모든 부위에서 모든 맛을 느낄 수 있다. 혀의 표면에 위치한 미뢰를 통해 미각을 느낀다. 맛의 5원미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이 맛의 5원미이다. 감칠맛은 우마미(umami)라고도 하며, 비교적 최근 일본이 등재시킨 맛.. 2022. 5.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