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PERU)
페루 커피는 1880년대쯤부터 수출이 시작되었다. 1970년대부터 공산주의 정당의 게릴라 활동으로 인해 커피 농장이 훼손되어 품질이나 생산성도 크게 떨어졌으나 여러 비정부기구들의 도움으로 유기농, 공정무역 인증을 받으며 이내 다시 커피산업이 회복되었다. 페루의 국토는 안데스 산맥이 통과하며 해발 800~2,500m의 고도고 공존하고 있으며 고산, 해안, 사막, 아마존 등 다양한 기후와 지역들에서 다양한 커피들이 생산되고 있다.
페루 커피 특징
페루 커피는 화려한 향미보다는 깊은 바디와 단맛을 가지고 있는 것과 특유의 부드러운 느낌이 밀크 초콜릿처럼 느껴지는 게 대표적인 특징이다. 산지나 품종에 따라 부드러운 산미와 허브향이 어우러진 밸런스가 좋은 커피도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특징 때문에 페루 커피는 블렌딩에 더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페루 라 루쿠마 마르셀, 페루 라 솔리다리아 게이샤를 접해봤는데, 화려한 향미와 중후한 맛의 밸런스가 굉장히 좋았다. 싱글 오리진으로 즐기기에도 그 매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느꼈다.
페루 커피 등급
페루 커피는 재배 고도에 따른 2가지 분류와 결점두 개수에 따른 4가지로 분류를 나누어 커피 등급을 매기고 있다.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서도 분류를 하지만, 보통 위 두 가지 분류 방법을 따르고 있으며 안데스 산맥을 끼고 있는 국토의 특성상 좋은 품질의 페루 커피 선택을 위해서는 재배 고도가 높은 곳을 선택하는 게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한다.
등급 분류 (재배고도) |
재배 고도 | 등급 분류 (결점두) |
결점두 개수 (생두 300g) |
SHB (Strictly Hard Bean) |
1,350m 이상 |
ESHP (Electronic Sorted & Hand Picked) |
10개 이하 |
ES (Electronic Sorted) |
11~40개 | ||
HB (Hard Bean) |
1,200m - 1,350m |
MCM (Machine Cleaned Majorado) |
41~70개 |
MC (Machin Cleande) |
71~100개 |

페루 커피 생산 지역
페루의 가장 대표적인 커피 생산 지역은 찬차마요(Chanchamayo)이다. 여러 생산 지역 중 가장 좋은 품질의 커피를 재배하고 있다. 커피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산 마르틴(San Martin)이며 그 외에도 카하마르카(Cajamarca), 쿠스코(Cusco), 후닌(Junin), 푸노(Puno), 아야쿠초(Ayacucho), 파스코(Pasco) 등 안데스 산맥을 끼고 국토의 북에서 남까지 다양한 생산 지역에서 다양한 품질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커피, 바리스타 이야기 > 커피와 바리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케냐 / 아프리카 (0) | 2022.08.17 |
---|---|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에티오피아 / 아프리카 (0) | 2022.08.10 |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콜롬비아 / 남아메리카 (0) | 2022.08.05 |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브라질 / 남아메리카 (0) | 2022.08.03 |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코스타리카 / 중앙아메리카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