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BRAZIL)
브라질은 1820년대부터 본격적인 커피 생산이 시작되었고, 1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압도적으로 세계 최고의 커피 생산/수출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35% 이상을 브라질 커피가 차지하고 있으며, 커피 수출량은 수출국 2위~10위까지의 수출량을 모두 합산했을 때 브라질의 수출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토가 넓은만큼 다양한 재배 조건, 기후에 맞게끔 다양한 커피들을 수확하며, 다른 커피 생산국에 비해 산업화되어있는 대형 커피 농장이 발달했다.
브라질 커피 특징
브라질은 해발 고도 800m 정도의 비교적 저지대의 대규모 농장에서 커피를 재배한다. 그렇다 보니 커피 품질의 일관성도 높은 편이고, 바디감이 강하고 단맛도 좋은 편이다. 뚜렷한 개성을 가진 커피라기보다는 맛의 중간에 위치해있는 무난한 요소가 많은 커피이다. 앞서 말한 특징들로 인해 블렌딩의 베이스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브라질 커피는 가격이 저렴하고 다소 부족한 산미와 향미, 단맛, 쓴맛, 묵직한 바디감을 주로 가지고 있다는 선입견이 있지만(실제로 대부분의 브라질 커피의 특징이긴 하지만), 고지대에서 수확한 커피의 경우 만다린 계열의 기분 좋은 산미와 견과류 계열의 뉘앙스를 뚜렷하게 느낄 수도 있다.
브라질 커피 등급
브라질 커피는 생두 300g당 결점두 개수를 기준으로 5가지 커피 등급으로 나눠서 등급을 관리하고 있다. 결점두가 적을수록 높은 등급이다.
등급 | 결점두 갯수 (샘플 300g당) |
NO.2 | 4개 이하 |
NO.3 | 12개 이하 |
NO.4 | 26개 이하 |
NO.5 | 46개 이하 |
NO.6 | 86개 이하 |
브라질 커피를 구매할 때, 브라질 세라도 17/18 NY2 FC 이런 식으로 표기된 이름을 봤을 것이다. 결점두 개수 만으로 커피의 품질을 결정하여 선물 가격 책정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보니, 뉴역무역거래소(NYBOT : New york Board Of Trading)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여 표기한 것이다. 브라질의 세라도 농장에서 재배된 커피로, 17/18(스크린 사이즈), NY2(300g 샘플의 결점두 점수) FC(커핑)로 확인 가능하다.
결점두 점수는 NY2(최고등급)~NY8(최저등급)으로 분류한다. 커핑 점수는 SS(최고등급)~RZ(최저등급)으로 분류하며, 향미에 따라 FC(Fine Cup)과 GC(Good Cup) 두 가지로 분류한다. SS등급이라고 해서 꼭 Fine Cup 등급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
NYBOT의 결점두 점수는 단순히 결점두 개수로 평가하는 게 아니라, 어떤 종류의 결점두인지에 따라다 점수가 상이하다. 결점두에 따른 점수는 차후 포스팅으로 다시 다뤄보려 한다.
결점두 갯수 등급 (샘플 300g 점수) | 커핑 등급 |
NY2 (6점) | SS (Strictly Soft) |
NY2/3 (9점) | S (Soft) |
NY3 (13점) | Si (Soft-ish) |
NY3/4 (21점) | H (Hard) |
NY4 (30점) | Riado |
NY4/5 (45점) | Rjoy |
NY5 (60점) | RZ (Rio Zona) |
NY5/6 (90점) | |
NY6 (120점) | |
NY6/7 (180점) | |
NY7 (240점) | |
NY8 (450점) |
커피 결점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커피 결점두 (Defects Bean) : 검은 생두, 벌레 먹은 생두
결점두 (Defcets Bean) 커피 체리의 수확, 가공, 운반, 보관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점두의 원인,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다. 민트는 하나의 잎이 상하기 시작하면 급속도로 번져 민트 전체가 상하게 돼
barista-baking.tistory.com
커피 결점두 (Defects Bean) : 미성숙 생두, 곰팡이 핀 생두, 이물질(훌 / 허스크)
결점두 (Defects Bean) 커피 생두의 수확, 가공, 유통, 운송,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점두를 추가로 알아본다. 이번 포스팅은 미성숙 생두, 곰팡이 핀 생두(펑거스), 이물질, 훌, 허스크에 대
barista-baking.tistory.com
커피 결점두 (Defects Bean) : 사우어 빈, 쉘 빈, 브로큰 빈
결점두(Defects Bean) 수확, 가공, 운반,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점두 중 과발효, 쉘빈, 브로큰 빈 세 가지 결점두에 대해 얘기해보려 한다. 결점두 중에서는 로스팅, 커피 향미에 큰 영향을
barista-baking.tistory.com
커피 결점두 (Defects Bean) : 위더드 빈, 플로터 빈, 파치먼트
결점두 (Defects Bean) 결점두를 세분화하여 13가지로 소개하려 했으나, 결점의 영향에 따라 나누는 기준도 있기에 이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결점두 관련 포스팅을 마치려고 한다. 앞선 포스팅들과
barista-baking.tistory.com
브라질 커피 생산 지역
브라질 커피 전체 생산량의 40% 정도 차지하는 미나스 제라이스(Minas Gerais)가 있다. 브라질 커피 중 많이 알려져 있는 세라도(세하도, Serrado), 산토스(Santos) 농장 또한 미나스 제라이스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 외에도 상 파울루(San Paulo), 파라나(Parana), 에스피리투 산토(Espirito Santo), 바니아(Bania)등의 지역이 있다.
'커피, 바리스타 이야기 > 커피와 바리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페루 / 남아메리카 (0) | 2022.08.09 |
---|---|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콜롬비아 / 남아메리카 (0) | 2022.08.05 |
산지별 커피맛, 원두 특징 : 코스타리카 / 중앙아메리카 (0) | 2022.08.02 |
산지별 커피 생두, 원두 특징 : 엘 살바도르 / 중앙아메리카 (국가/대륙) (0) | 2022.08.01 |
산지별 커피 생두, 원두 특징 : 과테말라 / 중앙아메리카 (국가/대륙)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