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커피, 바리스타 이야기49 커피맛 표현의 필요성과 향미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 커피맛 표현 커피를 마실 때 꼭 맛을 표현해야 하는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커피를 마시고 맛이 있다, 없다, 내 취향이다, 내 취향이 아니다 정도만의 표현과 판단만으로도 커피를 즐기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커피를 마시며 본인의 기호를 세세하게 파악하고, 그 기호에 따른 커피에 대한 주관을 세우고, 그 맛을 구체적으로 찾아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면 커피에 대해서 좀 더 깊게 즐길 수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그를 위해서는 커피맛을 보고 단순한 평가에 그치는 게 아닌, 그 맛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표현해보고 평가해보는 게 큰 도움이 된다. 커피 향미를 결정하는 요인 커피 향미를 결정하는 요인을 한두 가지 짚어서 얘기하기에는 분명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커피 콩이 심어지는 순간부터 한잔의 커피가.. 2022. 5. 31. 스페셜티 커피와 추출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 스페셜티 커피의 등장 최근 스페셜티 커피가 굉장히 유행이다. 스페셜티만 전문하는 스페셜티 전문점들도 많이 등장하였고 성행을 이루고 있다. 그에 맞게끔 스페셜티 커피에 초점을 맞춘 여러 기구, 장비들도 출시되고 있고 자연스레 좋은 질의 커피를 그대로 즐기기 위한 커피 추출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좋은 품질의 커피 (스페셜티 커피와 COE) 스페셜티 커피는 지리, 기후, 산지 등 특별한 환경에서 자란 커피 중 SCAA의 커핑 평가를 거쳐, 80점 이상을 받은 우수한 등급의 커피를 말한다. 처음 등장은 대량 생산되는 커피에 반하는 목적이었다. 1989년의 커피 수입 할당제 폐지로 인해 커피 생산량이 많은 브라질, 베트남 등의 커피가 대량으로 시장에 풀리며 과잉 공급으로 인해 커피 가격이 대폭.. 2022. 5. 30.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오해와 진실(맛, 건강, 성분) 디카페인 커피의 등장 디카페인 커피가 출시되고 판매가 시작된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디카페인 커피를 탄산이 빠져버린 콜라처럼 생각하곤 한다. 당연히 처음 출시가 됐을 때는 그렇게 생각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커피 업계의 상황은 많이 변화되었고, 위의 이유만으로로 디카페인 커피를 마셔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지금 이 글을 읽고 분명히 경험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모든 디카페인 커피가 모두 똑같이 긍정적일 거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디카페인 커피의 공정에서 오는 오해 디카페인 커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카페인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카페인을 제거하는 공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공정 차이뿐만 아니라 사용한 원두의 퀄리티와.. 2022. 5. 27. 커피 원두 블렌딩의 개념과 잘 하는 법 커피의 성장과 블렌딩의 등장 커피 업계와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스페셜티 커피라는 것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보니 싱글 오리진(하나의 나라 혹은 하나의 농장에서 수확된 커피를 일컫는 말(Single Origin))이 좋은 커피라는 인식이 생기며 주목을 받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카페에서 나라, 농장, 품종이 모두 적혀있는 커피는 쉽게 볼 수 없었지만 요즘은 다르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싱글 오리진 커피는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싱글 오리진 커피는 장점과 단점이 뚜렷하다. 단가를 맞추기 위해서는 커피가 굉장히 단조롭게 느껴지고, 맛의 스펙트럼이 넓은 싱글 오리진 커피를 사용한다면 단가가 굉장히 높아진다. 즉, 큰 스펙트럼을 가진 생두는 극소량.. 2022. 5. 2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