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커피와 바리스타 그리고 일상55

로스팅3 : 로스팅 용어와 프로파일 작성, 해석하는 방법 로스팅 용어와 프로파일 로스팅을 진행하기에 앞서 로스팅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용어가 있다. 로스팅과 관련된 용어들을 먼저 알아보고, 로스팅 결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읽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해보려 한다. 1. 로스팅 포인트 로스팅이 된 원두를 로스팅 단계와 색상으로 분류한 단계이다. 배전도라고도 얘기한다. 로스팅 포인트, 배전도에 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로스팅 포인트와 원두 구매 팁 로스팅 포인트가 원두 구매에 미치는 영향 원두는 로스팅 강도에 따라 크게 8가지 포인트로 나눌 수 있다. 물론 기준은 다를 수 있지만, 아그트론(색도)에 따라 어느 정도 상용화된 기준이 있고, barista-baking.tistory.com 2. 터닝 포인트 (tu.. 2022. 6. 23.
로스팅2 : 로스팅 머신 구조와 로스팅 프로세스(로스팅 하는 방법) 로스팅 머신 구조 로스팅 머신은 어떤 회사의 제품인지, 어떤 방식의 로스팅을 하는지, 에너지원을 무엇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구조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로스터기는 위와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 1. 호퍼 : V자, 깔때기형 구조로 원두를 투입하는 곳 2. 드럼 : 생두가 투입되어 열이 가해지고 볶아지는 곳. 내부 구조는 열에 강하고 회전이 가능한 구조 3. 샘플러 : 샘플 봉이라고도 하며 로스팅 진행 중 원두의 상태를 꺼내어 확인할 수 있음 4. 모터 : 드럼 회전을 위한 모터 5. 쿨러 : 로스팅이 된 원두를 식히기 위한 장치 6. 배출구 :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배출되는 곳 7. 댐퍼 : 원활한 배기 흐름을 위해 환풍기 역할을 함 8. 화력 : 온도 조절을 위한 장치 9. 사이클론 : .. 2022. 6. 22.
로스팅1 : 로스팅 정의와 방식(직화, 반열풍, 열풍), 배전도 로스팅과 관련된 내용은 하나의 포스팅에 내용을 모두 담기가 힘들어 시리즈로 나누어서 포스팅을 할 계획이다. 1편에서는 가장 먼저 알아야 할 로스팅과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을 얘기해보려한다. 로스팅 정의 한마디로 생두에 열을 가하여 볶는 과정이다. 로스팅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커피맛이 달라진다. 어떤 재료를 사용하는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요리하는지 중요한것처럼 말이다. 특별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커피 생두를 열을 통해 물리, 화학적 변화를 주어 우리가 커피나 원두라고 부르는 매력적인 향미를 가진 콩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커피에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 기반이 갖춰져있어야지 진행이 가능한 공정이다. 커피 열매의 떼루아와같은 환경, 품종, 가공 방식 등에 대한 이해를 기반하여야 원재료에 .. 2022. 6. 21.
생두 가공 방식과 가공 방식 별 특징 건조식 가공 방식 (NATURAL) 건조식 가공 방식은 가장 전통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수확한 커피 열매를 매트 위에 넓게 펼쳐 널어서 규칙적인 간격을 가지고 수분 함량이 11%가 될 때까지 햇빛에 말리는 가공 방식이다. 이때 커피 열매를 겹치면 안 되고 얇게 펼쳐 놓는 것이 중요한데, 커피 열매 간에 층이 생겨 아래쪽의 커피와 위쪽의 커피가 일관되게 건조를 하기 위함이다. 건조는 환경에 따라서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2~3주까지 걸리는 작업이다. 최근에는 건조 기계에 넣어 빠르게 건조하는 경우도 있다. 수분이 날아가서 쪼그라든 커피 열매는 기계로 껍질을 벗겨낸다. 이렇게 가공된 커피 열매를 보통 내추럴 커피라고 말한다. 커피 본연의 복합적인 향미를 가장 잘 가지고 있다. 수세식 가공 방식 (WASHE.. 2022. 6. 20.
반응형